MBTI 성격유형 검사 많이들 받아 보시는데요.

 

요즘은 혈액형 검사보다 더 신빙성이 있고, 세부적인 질문들이 있어 보다 정확하게

 

성격유형검사를 진행할 수 있어, MBTI 성격유형 검사를 더 선호하며 인기가 높습니다

 

지금부터  MBTI 성격유형 검사결과로  내 성격유형에 대해 해석이 어떠한지 알아보겠습니다 

 

 

✅10분 내외면 가능

 

✅유형별 궁합정보 알아보기

 

✅16가지 성격유형 알아보기

 

 

MBTI 성격유형 검사 특징(해석)

MBTI 성격유형 검사MBTI 성격유형 검사MBTI 성격유형 검사
MBTI 성격유형 검사

 

 

🔸E (Extroversion) 외향 vs I (Introversion) 내향

🔸 S(Sensing) 감각 vs N(Intuition) 직관

🔸 T(Thinking) 사고 vs F(Feeling) 감정

🔸 J(Judging) 판단 vs P(Perceiving) 인식

 

 

E ( 외향형 ) - I ( 내향형 )

MBTI 성격유형 검사MBTI 성격유형 검사MBTI 성격유형 검사
MBTI 성격유형 검사

 

외향형과 내향형은 정신의 에너지의 방향에 따라서 각 사람들의 유형이 정해집니다.

 

외향형은 외부 기준에 따라서 판단하고 행동합니다. 즉 나 자신보다는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집니다

 

내향형의 경우에는 정신의 에너지 방향이 주로 내부로 향합니다.

 

그래서 자신의 주관적인 기준에 따라서 행동하고 판단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나 자신에게 좀 더 관심을 두는 것이 특징입니다.

 

S ( 감각형 ) - N ( 직관형 )

 

MBTI 성격유형 검사MBTI 성격유형 검사MBTI 성격유형 검사
MBTI 성격유형 검사

 

감각형과 직관형은 사람이나 사물 등을 인식할 때 감각과 직관 두 가지 중에서 어떤 부분을 더 중점을 두는지에 따라 나눌 수 있습니다

 

감각형의 유형인 사람은 다른 것에 대해서 인식할 때 오감에 의존하고 세심한 관찰력을 가지고 있어서 어떤 일을 사실적으로 묘사합니다.

 

인식형의 유형인 사람은 창조적이며 상상력이 풍부하기 때문에 보이는 것을 그대로 믿지 않고 육감에 의존한다고 합니다.

 

T ( 사고형 ) - F ( 감정형 )

MBTI 성격유형 검사MBTI 성격유형 검사MBTI 성격유형 검사
MBTI 성격유형 검사

 

사고형과 감정형은 어떤 일을 판단하여 결정을 내릴 때 위 두 가지 중에서 어떤 것을 우선적으로 생각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진다고 해요.

 

감정형의 경우에는 어떠한 일을 판단할 때 인간적인 관계나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을 내리는 것이 있다고 합니다.

 

J ( 판단형 ) - P ( 인식형 )

MBTI 성격유형 검사MBTI 성격유형 검사MBTI 성격유형 검사
MBTI 성격유형 검사

 

판단형과 인식형은 일상생활에서 어떤 일에 대처할 때 판단을 중시하는지 아니면 인식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진다고 해요.

 

판단형은 신속하게 합리적인 결정을 하기 위해 노력해요. 그리고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움직여서 최적의 판단을 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인식형은 흘러가는 상황에 따라서 행동하고 계획을 세운 경우에도 긴급한 일이 생길 경우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대한민국 MBTI 성격유형별  순위

대한민국 성격유형별  순위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성격유형은 "ISTJ"로 무려 9.87%나 된다고 합니다.

 

아래에 순위는 23년 2분기 순위입니다. 이 순위는 언제든지 바뀔 수 있습니다.

1위 ISTJ (9.87%) 9위 ESFP 5.77%)
2위 ESTJ (9.38%) 10위 ISTP (5.60%)
3위 ISFJ (9.02%) 11위  ESTP(5.44%)
4위 ENFP (8.84%) 12위 INTP (4.86%)
5위 ESFJ (7.36%) 13위 ESFJ(4.15%)
6위 INFP (7.22%) 14위 INFJ (4.07%)
7위 ISFP (6.46%) 15위 ENTP (3.24%)
8위 INFJ (5.79%) 16위 ENFJ (2.92%)

 

2위는 INFP 3위는 INFJ입니다. 7위까지는 꽤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것 같습니다.

아시아 및 주요 국가  성격유형

동북아시아 성격유형별  순위

MBTI 성격유형 검사
MBTI 성격유형 검사

 

동북아시아의 주요 국가들에 대한 MBTI 성격유형 검사 해석에 관한 통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T(Tactics)와 F(Focusing): 대체적으로, 동북아시아의 주요 국가들은 F보다 T가 높았습니다. 즉, 이 지역의 사람들은 주변 환경에 주의를 기울이며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서 논리적이고 현실적인 요소들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N(Intuition)와 S(Sensing): S보다 N이 상대적으로 높은 국가들은 싱가포르, 중국 등이었으며, 이는 이들 국가의 주민들이 미래 지향적이며 창의적이며 비전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I(Introversion)와 E(Extraversion): 이 성향에서는 대체적으로 I가 E보다 높았습니다. 즉, 이 지역의 주요 국가들은 조용하고 내향적인 성향을 띠는 경향이 있습니다.

 

J(Judging)와 P(Perceiving): 일본이 P보다 J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계획적이고 조직적인 경향을 나타냅니다. 다른 국가들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지만, 일본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여담으로, 미국이나 유럽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아시아 주요 국가들은 내향적인 성향을 띠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독일, 폴란드, 이탈리아와 같은 유럽 국가들보다 더 내향적인 성향을 보입니다.

 

이렇게 mbti 성격유형 검사 나라별로 해석,특징도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혹사 아직 MBTI 성격유형 검사 안해 보셨거나 

아니면 검사 하신지 오래되셨다면 위에서 MBTI 성격유형 검사 진행해보시면 좋겠습니다.

 

단 10분정도면 충분히 하실수 있으니 내 성격유형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